271101 |
제철, 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 | 제철업 | 92.4 | 13.3 |
◦철광석, 코크스 원료탄 등으로 선철, 주철, 경철 등의 철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제철활동과 결합되어 운영되는 합금철, 제강, 압연활동을 별도로 파악할 수 없을 경우에는 여기에 포함한다. | ||||
<예 시> ·선철, 주철과 경철 제조 |
||||
271102 | 제철, 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 | 제강업 | 88.8 | 16.2 |
◦선철, 고철을 처리하여 강괴, 퍼들바(puddle bar), 파일링(piling), 슬래브, 블룸, 빌릿 등과 같은 1차 형재 또는 반제품 상태의 철강 재료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강 1차 형재 제조 ·강 반제품 제조 <제 외> ·순철, 해면철, 철강 분말 제조(271104) |
||||
271103 | 제철, 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 | 합금철 제조업 | 88.8 | 16.2 |
◦합금철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망가니즈 합금철(망가니즈철) 제조 ·텅스텐 합금철 제조 ·크롬 합금철 제조 ·니켈 합금철 제조 ·실리콘 합금철 제조 ·바나듐 합금철 제조 ·바이메탈용 합금철 제조 |
||||
271104 | 제철, 제강 및 합금철 제조업 | 기타 제철 및 제강업 | 88.8 | 16.2 |
◦순철, 분말야금용 철강 분말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해면철 제조 ·철강 분말 제조 ·분말야금용 등 철강 분말 제조 |
||||
271201 |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 그 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 91.6 | 10.1 |
◦열간 또는 냉간제품을 제외한 기타 형강, 단공 강재, 용접 형강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단공 강재 제조 ·용접 형강 제조 <제 외> ·단조 금속제품 제조(289102) *특정형의 1차 또는 중간재 상태의 철강재 제조(→271902) |
||||
271202 | 철강관 제조업 | 주철관 제조업 | 91.0 | 15.1 |
◦주형, 주조 또는 원심 분리 등의 방법에 의하여 주철관, 중공 파일 및 관련 연결구류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주철 중공 프로파일 제조 ·주철관 연결구류 제조 |
||||
271204 |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열간 압연 및 압출제품 제조업 | 91.6 | 11.2 |
◦철강재를 열간 압연․압출 및 인발하여 판, 로드(rod), 바(bar), 형강, 궤조, 선재 등 1차 형태의 압연 강재(철강선 및 강관 제외)를 생산하는 산업 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철강 열간 압연 제품 제조 ·열간 스테인레스강 평판 제조 ·열간 합금강 평판 제조 ·열간 철강 봉 제조 ·열간 철강 형강 제조 ·열간 압연, 압출 및 인발 철강 제조 <제 외> ·철강선 제조(271206) |
||||
271205 |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냉간 압연 및 압출 제품 제조업 | 91.6 | 11.2 |
◦열간 압연 강재를 냉간 압연․압출 및 인발하여 1차 형태의 냉간 압연 강재를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냉간 압연, 압출 및 인발제품 제조 ·냉간 철강 판, 시트, 봉 및 형재 제조 <제 외> ·철강선 제조(271206) |
||||
271206 | 철강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철강선 제조업 | 91.6 | 11.2 |
◦선재, 봉, 바 등의 1차 강재를 연신하여 철강선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철 및 비합금강 선 제조 ·스테인레스강 선 제조 ·합금강 선 제조 ·철강선 제조 <제 외> ·비절연 철선제품 및 철강선 가공품 제조(289901) |
||||
271207 | 철강관 제조업 | 강관 제조업 | 91.6 | 11.2 |
◦강재를 단조, 인발, 압출, 용접 및 기타 가공하여 무계목 강관, 단접 강관, 용접 강관, 튜브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단접 철강관 제조 ·압출 철강관 제조 ·강관 제조 ·철강 튜브 제조 <제 외> ·주철관 제조(271202) |
||||
271208 | 철강관 제조업 | 강관 가공품 및 관 연결구류 제조업 | 91.0 | 15.1 |
◦구입한 강관을 절단, 절곡, 나사골 내기 등으로 가공하여 강관 연결구류를 제조하거나 인발 강관 또는 중고 강관을 재생 인발한 강관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철강관 연결구류 제조 ·중고 철강관 재생 인발제품 제조 <제 외> ·주철제 연결구류 제조(271202) |
||||
271901 271901 |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 처리 강재 제조업 |
89.0 | 10.6 |
◦구입한 철강재를 도금, 착색 및 기타 표면 처리하여 특정형의 1차 또는 중간재 상태의 철강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철강재 성형가공 과정에 결합되어 표면 가공활동을 수행할 경우에는 그 성형가공 활동에 따라 분류한다. | ||||
<예 시> ·열처리 강재 생산 ·주름처리 강재 생산 ·도금, 도장 및 피복 철강재 제조 ·함석(아연도 강관) <제 외> ·단조 금속제품 제조(289102)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한 금속 가공제품 표면처리 활동(289208) |
||||
271902 |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 그 외 기타 1차 철강 제조업 | 88.2 | 10.0 |
◦구입한 철강재를 절단하여 특정형의 1차 또는 중간재 상태의 철강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절단가공 철강재 생산 ·절단 철강 판재 생산 <제 외> ·철강재를 고객이 원하는 형태로 절단하는 경우(해당 산업활동으로 분류) *기타 형강, 단공 강재, 용접 형강 제조(→271201) |
||||
272. 1차 비철금속 제조업 |
||||
272100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기타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6.6 | 12.4 |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주석, 니켈, 안티몬, 수은, 망가니즈,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지르코늄 등의 비철금속 광석 또는 괴(덩어리)등을 처리하여 제련 및 정련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 은 등의 귀금속 및 주석의 1차 제련 및 정련 ·니켈, 안티모니, 수은, 망가니즈 1차 제련 및 정련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1차 제련 및 정련 ·우라늄 1차 제련 및 정련 <제 외> *기타 비철금속 광석의 스크랩을 처리하여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272200) |
||||
272101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동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6.6 | 12.4 |
◦동 광석 또는 괴(덩어리) 등을 제련, 정련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동 1차 제련 ·동 1차 정련 <제 외> *동의 스크랩 등을 제련, 정련 및 재생, 동합금 제조(→272201) |
||||
272102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6.6 | 12.4 |
◦알루미늄 원광(보크사이트), 알루미나 또는 괴(덩어리)등을 제련, 정련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알루미늄 원광을 처리하여 알루미나를 생산하는 산업활동도 포함한다. | ||||
<예 시> ·알루미늄 1차 제련 ·알루미늄 1차 정련 ·알루미늄 원광을 제련한 알루미나 (산화알루미늄) 제조 <제 외> *알루미늄의 스크랩 등을 제련, 정련 및 재생, 합금 제조(→272202) |
||||
272103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연 및 아연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6.6 | 12.4 |
◦연(납) 및 아연 광석 또는 괴(덩어리) 등을 제련․정련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납(연) 제 1차 제련 및 정련 ·아연 제 1차 제련 및 정련 <제 외> *연(납) 및 아연 등의 스크랩을 제련․정련 및 재생, 합금 제조(→272203) |
||||
272200 272200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기타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7.3 | 12.8 |
◦금, 은, 백금 등의 귀금속, 주석, 니켈, 안티몬, 수은, 망가니즈, 크롬, 텅스텐,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지르코늄 등의 비철금속 광석의 스크랩을 처리하여 제련 및 정련하거나 이들의 합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 은 등의 귀금속 및 주석의 2차 제련 및 정련, 합금 제조 ·니켈, 안티모니, 수은, 망가니즈 2차 제련 및 정련, 합금 제조 ·몰리브덴, 마그네사이트 2차 제련 및 정련, 합금 제조 ·우라늄 2차 제련 및 정련, 합금 제조 <제 외> *기타 비철금속 광석 또는 괴(덩어리)등을 처리하여 제련 및 정련(→272100) |
||||
272201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동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7.3 | 12.8 |
◦동의 스크랩 등을 제련, 정련 및 재생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동합금 제조활동도 포함한다. | ||||
<예 시> ·동 2차 제련 ·동 2차 정련 ·동합금 제조 <제 외> *동 광석 또는 괴(덩어리) 등 제련, 정련(→272101) |
||||
272202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알루미늄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7.3 | 12.8 |
◦알루미늄의 스크랩 등을 제련, 정련 및 재생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알루미늄 합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도 포함한다. | ||||
<예 시> ·알루미늄 2차 제련 ·알루미늄 2차 정련 ·알루미늄 재생 ·알루미늄 합금 제조 <제 외> ·인조커런덤(강옥) 제조(269908) *알루미늄 원광(보크사이트), 알루미나 또는 괴(덩어리)등 제련, 정련(→272102) |
||||
272203 272203 |
비철금속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연 및 아연 제련, 정련 및 합금 제조업 | 87.3 | 12.8 |
◦연(납) 및 아연 등의 스크랩을 제련․정련 및 재생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이들의 합금을 제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 ||||
<예 시> ·납(연) 제 2차 제련 및 정련 ·아연 제 2차 제련 및 정련 ·미가공연합금 ·아연합금, 아연분 <제 외> *연(납) 및 아연 광석 또는 괴(덩어리) 등 제련․정련(→272103) |
||||
272300 |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알루미늄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89.4 | 5.4 |
◦알루미늄재를 압연, 압출, 인발 및 기타 가공하여 1차 형태의 알루미늄제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 반제품 제조 ·알루미늄 박판, 시트, 판, 대, 선, 봉, 바 및 관 제조 ·관, 로드, 바, 프로파일 및 기타 형의 알루미늄 제조 ·알루미늄케이블, 로프 및 유사제품 |
||||
272301 |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동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89.4 | 8.3 |
◦동재를 압연․압출․인발 및 기타 가공하여 1차 형태의 동제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동 합금 압연제품 및 반제품 제조 ·동 박판, 시트, 판, 대, 선, 봉, 바 및 관 제조 ·동케이블, 로프 및 유사제품, 동못 및 유사제품 |
||||
272302 |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기타 비철금속 압연, 압출 및 연신제품 제조업 |
89.4 | 8.3 |
◦금, 은, 주석, 니켈, 수은, 망가니즈, 크롬, 텅스텐, 마그네사이트 등 기타 비철금속을 압연·압출·인발 및 기타 가공하여 1차 형태의 비철금속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판, 시트, 대 및 박 제조 ·관 및 관 연결구류 제조 ·봉, 프로파일, 선 제조 ·주석 관 및 관 연결구류 제조 ·주석 판, 시트, 대 및 박 제조 ·텅스텐, 몰리브덴, 탄탈룸, 지르코늄, 베릴륨, 갈륨, 하프늄, 인듐, 니오븀 및 탈륨 1차 형태 금속제품 제조 ·아연 봉, 프로파일 및 선, 판, 시트, 대 및 박 제조 |
||||
272900 |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 기타 1차 비철금속 제조업 | 88.8 | 13.5 |
◦구입한 1차 또는 반제품 상태의 비철금속재를 절단, 분쇄, 표면 처리 및 기타 가공하여 중간재 상태의 절단제품, 분말, 조각, 플레이크(flake, 얇은 조각) 및 표면 처리 강재 등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비철금속 피복제품 제조 ·표면 처리 비철금속재 생산 ·비철금속을 절단한 중간재 제조 ·비철금속 분말, 조각 및 플레이크 생산 <제 외> ·금속 증착 필름 또는 접합지 제조는 그 주된 재료의 종류에 따라 분류 (210102 또는 252403, 252404) ·비철금속 스크랩을 분쇄 및 기타 가공하여 재생용 원료생산(372000) |
||||
273. 금속 주조업 |
||||
273101 |
철강 주조업 | 선철 주물 주조업 | 90.1 | 17.3 |
◦선철 또는 합금철로 각종 선철(회) 주물 및 가단철 주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가단철 주물 주조 ·합금철 주물 주조 ·정밀 선철 주물 주조 ·정밀 합금철 주물 주조 <제 외> ·주철관 및 관 연결구류 제조(271202) |
||||
273102 | 철강 주조업 | 강 주물 주조업 | 88.8 | 15.7 |
◦강재 또는 합금강재로 강 주물 및 합금강 주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강 주물 주조 ·합금강 주물 주조 ·정밀 강 주물 주조 ·정밀 합금강 주물 주조 <제 외> ·주철관 및 관연결구류 제조(271202) ·가단 주철 주물 제조(273101) |
||||
273200 | 비철금속 주조업 | 알루미늄 주물 주조업 | 90.1 | 8.6 |
◦알루미늄 및 그 합금으로 알루미늄 주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알루미늄 주물 주조 ·알루미늄 합금 주물 주조 |
||||
273201 |
비철금속 주조업 | 기타 비철금속 주조업 | 90.1 | 9.2 |
◦동 및 그 합금으로 동 주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동 주물 주조 ·동 합금 주물 주조 |
||||
273202 | 비철금속 주조업 | 기타 비철금속 주조업 | 90.1 | 9.2 |
◦금, 은, 주석, 니켈, 수은, 망가니즈, 크롬, 텅스텐, 마그네사이트 등의 기타 비철금속 주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비철금속 주조 |
||||
28.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81.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
||||
281100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금속 문, 창, 셔터 및 관련제품 제조업 | 91.5 | 8.8 |
◦금속제의 문 및 관련 금속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제 창문 제조 ·철문 제조 ·금속 롤링도어(rolling door, 두루마리 문) 제조 ·금속 스크린도어(screen door) 제조 ·금속 셔터문(shutter door) 제조 ·새시문(sash door) 제조 ·회전문(revolving door) 제조 ·금속제 수문(철골제 제외) 제조 |
||||
281.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
281101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91.5 | 9.9 |
◦금속 재료로 장식용 금속제품, 체인(동력전달용 제외), 선박용 프로펠러 및 그 날, 비전기식 벨, 종 및 유사제품, 바늘, 핀, 버클, 훅(hook), 관련 장치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적재용 금속판 제조 ·상패, 명패, 감사패 제조 ·버클 제조 ·철모 제조 ·사진틀 제조 ·화물용 금속 플랫폼(platform) 제조 ·이동식 사다리 제조 ·금속제 침 및 바늘 제조 ·금속제 트로피 제조 ·범용으로 사용되는 관 리벳(속이 빈 리벳), 이고 리벳(끝이 두 가닥 이상 나뉜 리벳) 제조 ·금속제 유금, 꺾쇠, 유금이 붙은 프레임 제조 ·버클용 유금, 아이(eye), 아이렛(eyelet), 구슬과 스팽글 제조 ·선박 추진기 및 관련 블레이드 제조 ·조립된 철도 궤도 및 철도 연결 부착물 제조 ·금속제 자석 제조 ·스트롱 박스 제조 ·안전장치를 갖춘 금속제 수집 상자 <제 외> ·귀금속제 경기 또는 예술용 트로피, 메달 제조(369101) ·재봉기용 바늘 제조(292600) ·용제 피복 없는 용접봉(해당 산업활동으로 분류) *사무실용 금속비품 제조(→289915) *금고, 금고실 라이닝, 금고실문, 현금괴 제조(→289918) |
||||
28.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 281.일반 목적용 기계 제조업 |
||||
281102 281102 |
펌프 및 압축기 제조업; 탭, 밸브 및 유사 장치 제조 포함 | 탭, 밸브 및 유사 장치 제조업 | 91.5 | 9.4 |
◦파이프, 보일러의 동체, 탱크, 통 등에 사용되어 액체 또는 기체의 흐름을 조정하는 탭, 코크, 수도꼭지, 마개, 노즐, 밸브 및 유사 장치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감압 밸브 및 온도 제어식 밸브 제조도 포함한다. | ||||
<예 시> ·감압 밸브 및 온도 제어식 밸브 제조 ·밸브 및 파이프가공품 ·소화전, 배관용밸브, 밸브유니트 <제 외> ·유압(공기압) 밸브 제조(291200) ·내연기관용 밸브제조는 그 내연기관의 부품 제조와 동일하게 분류 ·비경화 고무제, 유리제, 도자제의 탭, 코크, 밸브 및 유사 장치 제조는 그 재료에 따라 각각 해당되는 산업활동에 분류 |
||||
28.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281. 구조용 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제조업 |
||||
281103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공작물 제조업 | 91.5 | 10.5 |
◦건물 및 기타 구축물에 설치 또는 부착되는 각종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금속 공작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 지붕 및 벽면 제조 ·처마용 금속 판제품 제조 ·금속 발코니 제조 ·건물용 금속 계단 및 사다리 제조 ·설치용 금속 울타리 제조 ·금속 베란다 제조 <제 외> ·이동식 금속 사다리 제조(281101) ·골조 구조재 제조(281104,281105) ·구조물용 이외 판금제품 제조(289208) |
||||
281104 281104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육상 금속 골조 구조재 제조업 | 91.5 | 10.5 |
◦형강, 강판, 평강 등의 금속 재료를 가공하여 건물, 교량, 철탑 및 기타 육상 구축물, 기계 및 장비류(용광로, 물품 취급 장비 등) 축조 또는 설치에 사용되는 조립용 금속 골조 구조재 및 구성 부분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교량 조립 구조재 제조 ·탑 조립 구조재 제조 ·철골 조립 육상 구조재 제조 ·비계용 지주 및 유사기구 제조 ·차단용 또는 갱도 받침용 지주 및 유사 기구 제조 ·조립식 철골제 수문 제조 <제 외>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금속 공작물 제조(281103) ·금속제 조립식 건물 및 그 구성품 제조(281106) ·선체 블록 이외의 선박용 및 수상 부유 구조물용 철골 조립제품 제조(281105) |
||||
281105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수상 금속 골조 구조재 제조업 | 91.5 | 12.3 |
◦형강, 강판, 평강 등의 금속 재료를 가공하여 선박 및 수상 부유 구조물의 축조 또는 설치에 사용되는 조립용 금속 골조 구조재 및 구성 부분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선박용 철골 조립 구조재 제조 ·시추대 및 기타 수상 부유 작업대용 철골 조립 구조재 <제 외> ·구조용 금속 판제품 및 금속 공작물 제조(281103) ·금속제 조립식 건물 및 그 구성품 제조(281106) |
||||
281106 |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 | 91.5 | 9.4 |
◦달리 분류되지 않은 기타 구조용 금속제품 제조업으로서 금속 재료를 가공하여 금속제 조립식 건물 및 그 부분품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건물용 컨테이너 제조 ·금속제 조립식 건물 및 그 구성품 제조 <제 외> ·건물 부착 설치용 계단 및 사다리 제조(281103) ·이동식 금속제 사다리 제조(281101) |
||||
281201 281201 |
산업용 난방 보일러, 금속탱크 및 유사 용기 제조업 | 산업용 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제조업 | 88.4 | 11.4 |
◦가정용 이외의 공장, 빌딩 및 산업 시설물 등의 난방용 온수보일러, 저압 증기보일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중앙난방용 보일러 제조 ·기타 산업시설 난방용 보일러 제조 ·중앙난방용 저압 증기보일러 제조 <제 외> ·선박용 또는 동력용 증기발생 보일러 및 과열수 보일러 제조(281300) ·전기식 또는 비전기식 가정용 보일러 및 난방기기 제조(293005,293004) *중앙난방용 라디에타, 히터 제조(→281202) |
||||
281202 | 산업용 난방 보일러, 금속탱크 및 유사 용기 제조업 |
산업용 난방보일러 및 방열기 제조업 | 90.5 | 10.8 |
◦중앙난방용 라디에타, 히터 | ||||
<예 시> ·중앙난방용 방열기부분품제조, 방열기제조 |
||||
281204 | 산업용 난방 보일러, 금속탱크 및 유사 용기 제조업 |
금속 탱크 및 저장 용기 제조업 | 90.5 | 13.3 |
◦주로 건물 및 구축물, 선박 및 제조업용 기계․장비 등에 설치 및 부착되거나 가공 또는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대용량(300리터 초과) 금속용기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이러한 용기가 부착되는 기계․장비를 제조하는 사업체에서 이를 함께 생산할 경우에는 그 제조되는 기계․장비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 ||||
<예 시> ·금속 저장 조 제조 ·금속 탱크 제조 <제 외> ·상품 포장 또는 운반용 철강제의 탱크, 통, 드럼, 캔, 상자 및 유사용기제조(289902) |
||||
281205 281205 |
산업용 난방 보일러, 금속탱크 및 유사 용기 제조업 |
압축 및 액화 가스 용기 제조업 | 90.5 | 13.3 |
◦압축 또는 액화 가스 저장 및 운반용으로 사용하는 가스 용기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밸브ㆍ탭ㆍ압력계ㆍ액면계 등 조정용ㆍ제어용 또는 측정용 장치가 붙을 수도 있다. 이러한 용기가 부착되는 기계ㆍ장비를 제조하는 사업체에서 이를 함께 생산할 경우에는 그 제조되는 기계ㆍ장비 종류에 따라 분류한다. | ||||
<예 시> ·금속 가스 용기 제조 ·금속 압축 용기 제조 <제 외> ·상품 포장 또는 운반용 철강제의 탱크, 통, 드럼, 캔, 상자 및 유사용기 제조(289902) |
||||
281300 |
핵반응기 및 증기보일러 제조업 | 핵반응기 및 증기보일러 제조업 | 91.0 | 15.7 |
◦동위원소 분리기를 제외한 각종 목적용 핵반응기를 제조하는 산업활동과 선박용 또는 동력용 증기 및 과열수 발생 보일러와 관련 보조장치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핵반응기(원자로) 제조 ·핵반응기(원자로) 부분품 제조 ·증기 원동기용 응축기 제조 ·증기 원동기용 응축기 보조 장치 제조 ·증기 발생 보일러 보조 장치 및 부분품 제조 <제 외> ·동위원소 분리기 제조(292907) ·중앙난방용 온수보일러, 저압 증기보일러 및 관련 방열기 제조(281201,281202) ·증기 기관차 제조(352001) |
||||
289.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
289101 | 금속 단조, 압형 및 분말 야금제품 제조업 |
분말 야금제품 제조업 | 91.1 | 12.3 |
◦금속 분말을 형틀에 주입하고 이를 가열 및 압착하여 기계 부품을 포함한 각종 특정형의 금속 분말 야금제품을 직접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289102 | 금속 단조, 압형 및 분말 야금제품 제조업 |
금속 단조제품 제조업 | 89.6 | 9.2 |
◦단조 방법에 의하여 각종 금속 단조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단조표면가공품 <제 외> ·1차 형태의 단공 철강재 생산(271902) |
||||
289103 | 금속 단조, 압형 및 분말 야금제품 제조업 |
자동차용 금속 압형제품 제조업 | 91.1 | 7.0 |
◦금속 자재를 굽히기, 휘기, 회전 조형, 찍기, 압축 등의 방법으로 가공하여 자동차용 부분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제 외> ·자동차용 이외 금속 압형제품 제조(289104) |
||||
289104 | 금속 단조, 압형 및 분말 야금제품 제조업 |
그 외 금속 압형제품 제조업 | 91.1 | 8.8 |
◦금속 자재를 굽히기, 휘기, 회전 조형, 찍기, 압축 등의 방법으로 기계장비 부분품, 의료용품, 장식용품, 가구 부속품, 가정용품, 모형 등의 특정 제품 및 조립용 부분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제 외> ·자동차용 금속 압형제품 제조(289103) |
||||
289201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업 | 87.7 | 10.2 |
◦금속용접처리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해 금속간을 용접 및 유사 방법에 의하여 접합 |
||||
289202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도장 및 기타 피막 처리업 | 91.5 | 10.6 |
◦금속 가공제품을 에나멜, 래커, 충전 물질 등으로 착색․피복 또는 도장․법랑처리․충전․기타 피막 형성 처리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289205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절삭 가공 및 유사 처리업 | 87.7 | 11.8 |
◦선반, 레이저 및 기타 전자응용 기계 등을 이용하여 철강 또는 비철금속 물질을 절삭, 식각, 재단 및 기타 표면 가공하여 특정 제품의 부분품, 반제품 또는 완제품 형태의 각종 철강 또는 비철금속제품을 생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제 외> ·1차 금속제품 제조업에서 생산된 소재 상태의 제품을 구입하여 1차 형태 절단 강재 생산(271902) ·가압방법에 의한 금속 압형제품 제조(289104) ·연마방법에 의한 금속 표면 처리(289208) ·철골 용접공사 활동(452118) ·금속제품 가공업체 등과 수수료 및 계약에 의해 소재 상태의 금속제품을 단순 절단, 절곡한 강재 생산(289208) |
||||
289206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금속 열처리업 | 91.5 | 10.8 |
◦기계 부분품 및 일반 철물 등 금속 가공제품을 열처리 가공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289207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도금업 | 91.5 | 13.0 |
◦철강 및 비철금속을 각종 방법으로 도금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도금활동에 결합 수행되는 도금 전·후 처리활동(산세․수세․탈사, 마무리 등 공정)이 부수될 수 있다. | ||||
<제 외> ·제철공정과 열간·냉간 압연 및 압출공정, 도금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철강제품을 제조하는 활동(271101) ·제강공정과 열간·냉간 압연 및 압출공정, 도금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철강제품을 제조하는 활동(271102) ·1차 형재 또는 반제품 상태의 철강재를 구입하여 열간 압연 및 압출, 도금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철강 제품을 제조하는 활동(271204) ·1차 형재 또는 반제품 상태의 철강재를 구입하여 냉간 압연 및 압출, 도금공정을 연속적으로 수행하여 철강 제품을 제조하는 활동(271205) |
||||
289208 | 금속 열처리, 도금 및 기타 금속 가공업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업 | 91.5 | 10.8 |
◦금속 물질을 용단하거나 연마 및 기타 금속 표면을 가공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수수료 및 계약에 의해 각종 금속 물질을 특정한 규격으로 단순 절단, 절곡, 판금(절단, 구멍 내기, 구부리기, 모양 형성 등) 처리하는 산업활동도 포함한다. | ||||
<제 외> ·건물, 구축물용 판금제품(281103) ·선반, 레이저 기기 등을 이용한 절삭, 재단(289205) *수수료 또는 계약에 의한 금속용접처리(→289201) |
||||
289301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비동력식 수공구 제조업 | 94.5 | 4.8 |
◦농림업 및 정원용의 각종 수공구 | ||||
<예 시> ·삽, 곡괭이, 호미, 포크, 도끼, 작두, 낫, 전지가위, 쟁기, 쇠스랑 |
||||
289302 289302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일반 철물 제조업 | 92.9 | 9.7 |
◦문 및 창문용, 건물용, 가구용, 선박 및 차량 등의 운송장비용 및 기타 일반용의 철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가구 성격이 아닌 금속제 옷걸이, 타월걸이, 커튼 및 차양 부착물 등을 제조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 ||||
<예 시> ·경첩 제조 ·카스터 제조 ·금속제 옷걸이 제조(입식 제외) ·금속제 까치발(브래킷, bracket) 제조 ·금속제 선반 받침대 제조 ·자물쇠 및 열쇠에 결합되는 유금 제조 <제 외> ·조립된 철도 궤도, 회전대, 플레트홈 완충기 등 철도 궤도 부착물 제조(281101) ·선박 및 부유물용 조립 부분품 제조(351103) *자물쇠 및 열쇠 제조(→289305) |
||||
289303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톱 및 호환성 공구 제조업 | 91.6 | 9.9 |
◦수동식 톱 및 톱날, 공작기계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는 톱날, 칼, 칼날 등 기계용 또는 수공구용으로 사용되는 호환성 공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톱 및 톱날 제조(수동식) ·호환성 공구 제조 <제 외> ·수지식 전동톱 제조(292201) |
||||
289304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날붙이 제조업 | 91.6 | 9.7 |
◦식탁용 금속제품(식탁용 그릇 등 용기류는 제외)을 포함하여 각종 용도의 날붙이와 이들의 금속제 손잡이 등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제 식탁용품(숟가락, 젓가락, 칼, 포크, 스푼 등) 제조 ·금속제 설탕 집 ·가위 제조 ·칼 및 칼날 제조 ·면도날 제조 ·비전기식 면도기 제조 ·비전기식 조발기 제조 ·손톱깎이 제조 ·무기용 대검 및 칼집 제조 ·금속제 날붙이 손잡이 제조 <제 외> ·수동식 식품 가공 기기 및 주방 용기 제조(289903) ·기계용 칼 및 칼날 제조(289303) |
||||
289305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일반 철물 제조업 | 91.6 | 11.0 |
◦자물쇠 및 열쇠 | ||||
289306 | 날붙이, 수공구 및 일반 철물 제조업 | 비동력식 수공구 제조업 | 91.6 | 12.2 |
◦공업용, 광업용 등 각종 용도의 수공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으로서 가정용 수공구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줄 및 유사 공구 제조 ·플라이어(절단용 플라이어 포함), 집게, 핀셋, 금속 절단용 가위 제조 ·수동식 스패너와 렌치(토크미터 렌치 포함, 탭 렌치 제외), 소켓 스패넛 제조 ·유리 및 다이아몬드 가공용 수공구 제조 ·블로우램프, 바이스, 클램프, 모루(앤빌), 프레임을 갖춘 수동식 또는 족답식 연마 휠 제조 ·비전기식 다리미 및 인두, 연탄 집게 등 수공구 성격의 가정용 기기 제조 <제 외> ·탭렌치 등 기계용 및 호환성 공구 제조(289303) *농림업 및 정원용의 각종 수공구 제조(→289301) |
||||
289901 | 금속 파스너, 스프링 및 금속선 가공제품 제조업 |
금속선 가공제품 제조업 | 92.0 | 11.1 |
◦구입한 철선 및 기타 금속선(귀금속 제외)을 가공 또는 조립하여 각종 금속선 조립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비절연 금속 로프 제조 ·금속 케이블 제조 ·철망제품 제조 ·철망제 발판 제조 ·콘크리트용 철망 제조 ·강망(expanded metal, 鋼網) 제조 ·새장 제조(철선제) ·금속제 연선, 엮은 밴드, 사슬 제조 ·금속선제 그릴 제조 ·철망 제조 ·금속선 직물 제조 ·가시 있는 금속선(barbed wire) 제조 <제 외> ·금속제 못 제조(289910) ·스트립상의 스테이플, 클립 등 사무용 철선제품 제조(289915) ·선스프링 제조(289913) |
||||
289902 289902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금속 캔 및 기타 포장용기 제조업 | 88.0 | 7.9 |
◦상품 운반용 또는 포장용 금속제 통, 드럼, 캔 및 유사 용기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 통 제조 ·금속제 병마개 제조 ·금속 상자 제조 ·도로 설치용 쓰레기통 제조 ·우편함 및 우체통 제조 ·소화장치 보관용 금속제 상자 제조 <제 외> ·압축 및 액화가스 운반용 또는 저장용 금속제 용기 제조(281205) ·설치용 또는 저장용 금속용기 제조(281204) ·하나 이상의 운송수단에 의하여 운반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 제작되거나 특수 구조를 갖춘 운반용 컨테이너 제조(342000) ·가정용 쌀통 등 식품저장용 금속제품 제조(289903) |
||||
289903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수동식 식품 가공 기기 및 금속 주방용기 제조업 |
92.4 | 10.7 |
◦식품 가공용 비전기 수동식 기계 및 기구, 식품 저장․조리․공급용의 용기류 및 기타 가정용 금속 가공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양념 분쇄기 제조 ·아이스크림 조제기 제조 ·고기 절단 및 분쇄기 제조 ·수동식 식품 가공기기 제조 ·캔 및 병 개폐기 제조 ·금속제 주방 용기 제조 ·쌀통 제조(금속) ·수동식 국수 절단기 및 압출기 제조 ·달걀, 크림, 마요네즈 처리 도구 제조 ·법랑제(냄비, 프라이팬, 가정용집기) <제 외> ·금속 단조 및 압형 제품 제조(289101) ·가정용 비전기식 연소기, 풍로 및 난방기구 제조(293004) |
||||
289908 | 금속 파스너, 스프링 및 금속선 가공제품 제조업 |
볼트 및 너트류 제조업 | 92.0 | 9.7 |
◦틈을 조이거나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나선 가공된 원통형 금속제 볼트 및 너트를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제 외> ·나사못 제조(289910) |
||||
289910 |
금속 파스너, 스프링 및 금속선 가공제품 제조업 |
그 외 금속 파스너 및 나사제품 제조업 | 92.0 | 12.3 |
◦틈을 조이거나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금속 파스너 및 나사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제품 영구 조립용 리벳 제조 ·금속제 못, 압정 제조 ·쐐기 및 쐐기 고정 못 제조 <제 외> ·볼트 및 너트 제조(289908) ·금속제 유금, 꺾쇠, 유금이 붙은 프레임, 버클용 유금 제조(281101) ·자물쇠가 결합된 금속제 유금 제조(289302) ·관(管) 리벳, 이고(二股) 리벳 제조(281101) |
||||
289913 | 금속 파스너, 스프링 및 금속선 가공제품 제조업 |
금속 스프링 제조업 | 92.0 | 12.3 |
◦선형, 코일형, 나선형, 판형 등의 각종 금속 스프링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코일형 금속 스프링 제조 ·금속 판 스프링 제조 ·스프링 제조(금속) ·나선형 금속 스프링 제조 |
||||
289914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피복 및 충전 용접봉 제조업 | 92.0 | 12.3 |
◦금속이 기초가 되고 용제(플럭스, flux)를 피복 또는 심에 충전하여 납땜, 납접, 용접, 융착 등에 사용하는 용접봉 및 용접용 선ㆍ관ㆍ판ㆍ전극 등 유사 제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전기 아크용접용 용제 도포 용접봉 ·전기 아크용접용 용제 충전 용접봉 <제 외> ·피복, 도포, 충전하지 않은 용접용 금속 재료를 제조하는 경우는 재료물질인 금속 종류별 선, 봉, 관 등으로 분류 |
||||
289915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92.0 | 12.3 |
◦사무실용 금속비품 | ||||
<예 시> ·금속제 서류철용 부착물, 서신용 클립, 레터코너, 서류용 클립, 색인용 택 및 스트립상의 사무용 스테이플 ·비금속제의 서류 정리함, 카드 인텍스함, 서류꽂이, 연필꽂이대, 사무실용 스탬프스탠드와 유사한 사무실용 또는 책상용 비품 |
||||
289916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금속 위생용품 제조업 | 88.0 | 10.9 |
◦고정 설치용 여부를 불문하고 세면기, 개수통, 변기, 목욕통 등의 금속 위생용품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제 세면기 제조 ·금속제 목욕통 제조 ·금속제 개수통(싱크 상판) 제조 ·금속제 위생용품 및 부분품 제조 <제 외> ·금속관 연결구류 제조(271202) ·금속제 주방용기 제조(289903) ·금속제 개수통과 그 장치대(목재 또는 금속 재료)가 결합·조립된 주방용 가구 제조(361001) |
||||
289917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금속 표시판 제조업 | 92.4 | 13.0 |
◦금속 표시판, 교통 금속 표시판 및 관련 장치물을 제조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도로 표지 금속판 제조 ·교통 표지 금속판 제조 ·표시 금속판 제조 ·교통 안전 표시 금속판 제조 <제 외> ·교통 신호장치 제조(319005) |
||||
289918 | 그 외 기타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그 외 기타 분류 안된 금속 가공제품 제조업 |
92.4 | 7.5 |
◦금고 | ||||
<예 시> ·금고, 장갑 금고실, 금고실 라이닝, 금고실문, 현금괴 등 |
국세청 2024년 제조업 경비율 - 1차 금속 철강제조, 1차 비철금속제조, 금속주조업, 금속가공제품 구조용금속제품 탱크 및 증기발생기, 기타금속 가공제품, 기타기계 및 장비제조 일반목적용기계 제조압 기준경비율 단순경비율
2025. 5. 9. 20: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