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증여세 신고기한
재산을 증여받은 날이 속하는 달의 말일부터 3월 이내
2. 증여세 연대납부 책임
- 증여세는 재산을 증여받은 수증자가 납부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수증자가 다음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수증자가 납부할 증여세에 대하여 증여자가 연대하여 납부할 의무가 있습니다.
- 수증자의 주소 또는 거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로서 조세채권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
- 수증자가 증여세를 납부할 능력이 없다고 인정되는 경우로서 강제징수를 하여도 조세채권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
- 수증자가 비거주자인 경우
3. 증여세 신고 관할세무서
- 증여세 신고서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의 수증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 다만, 수증자가 비거주자이거나 수증자의 주소 및 거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및 명의신탁재산의 증여의제의 경우에는 증여자의 주소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에 제출해야 합니다.
- 수증자와 증여자 모두 비거주자에 해당하거나 주소 및 거소가 분명하지 아니한 경우 등에는 증여재산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세무서에 증여세 신고서를 제출해야 합니다.
'세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9년귀속 건설업 업종코드-국세청 업종코드-건설업 코드 (0) | 2023.01.06 |
---|---|
증여재산의 증여일-증여재산의 유형별 취득시기 (0) | 2022.12.26 |
증여세 세대생략-할아버지 증여-증여세 할증 (0) | 2022.12.26 |
증여세 세율-증여세율 (0) | 2022.12.26 |
증여 공제-증여재산 공제 및 재해손실 공제 (1) | 2022.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