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5세 이상을 대상으로 10가지 질문을 해 사망률을 예측하는 프로그램을 미국 하버드대학교에서 만들었다고 합니다. 우리도 계산기에 대입해 사망률을 예측해 보면서 수명 연장에 안 좋은 습관이 있다면 좋은 방향으로 개선하여 건강하게 오래 살도록 노력해 봅시다.
하버드대 의대 내과 사친 샤(Sachin Shah) 교수팀은 '사회적 노쇠 지수'를 확인할 수 있는 계산기 프로그램을 개발했습니다. 이 연구는 샤 교수팀이 선행으로 진행했던 연구를 기반으로 제작됐는데, 대부분 연구와 임상에서 사회적 요인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정량적으로 고려되지 않는다는 점에 착안한 것입니다. 이 연구는 과학 저널 PNAS에 게재됐습니다.
연구팀은 65세 이상 성인 8000명을 대상으로 183가지 사회적 특성을 고려해 4년간 추적·관찰했다고합니다. 그 기간 약 22%의 사람인 1760명이 사망했습니다. 고려 요인 중 조기 사망 위험과 연관되는 것은 총 8가지로
- 조기 사망 위험 연관 항목
1. 외로움
2. 비위생적인 공간에서의 거주
3. 재정 통제력 약화
4. 자녀 만남 횟수 연 0에서 1회
5. 무소득
6. 젊은이와의 활동 단절
7. 자원봉사 부재
8. 존중받지 못한다는 느낌을 받을수록 수명이 짧은 것으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이 8가지 요소를 바탕으로 나이와 성별을 넣어 총 10가지 질문을 작성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특정 질환이 아닌 모든 원인 탓인 사망 위험을 추정합니다. 예를 들어 80세의 여성이 자녀가 있고, 일주일에 한 두 번 만날 경우 사망 위험은 26%였지만, 같은 80세의 여성이 자녀도 없고 외로움을 느낀다는 등의 대답을 했을 때 사망 위험은 64%로 높아졌습니다.
연구팀은 사회적 노쇠의 근본적 이유를 외로움으로 꼽았으며, 실제로 오랫동안 친구나 가족을 만나지 못해 외로운 게 만성화되면 신체 내에서도 호르몬과 염증 수준이 급증할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선행 연구에서도 300만 명 이상을 조사한 결과 외로운 사람은 외롭지 않은 사람보다 조기 사망할 확률이 26~32%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샤 교수는 "장수에 관해 얘기할 때 우리는 지나치게 의학적 상태의 중요성을 강조한다"며 "그러나 이번 연구는 일상생활이 건강 상태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 사회적 노쇠 지수 질문
1. 나이
2. 성별
3. 살아있는 자녀 유무
4. 자녀 만남 횟수 (우연한 만남 포함)
5. 활동적인 일 얼마나 자주 하는지
6. 외롭다는 생각의 빈도
7. 집에서 도보로 20분 이내 지역의 위생 상태
8. 재정 상황 통제
9. 존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날
10. 보수 여부
수명에 인간관계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 다시 한번 증명된 셈이네요. 화목한 가족관계가 생명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봐야 하겠네요. 다정하고 진실한 친구가 있다는 것도 행복의 요소이구요. 남을 돕는다는 것은 보람 있고, 이제 늙어서 쓸모 없는 인간이 됐다는 자괴감이 아니라 오히려 나도 남을 도울 수 있다는 뿌듯함으로 가슴이 따뜻해 질 것 같습니다.
아래 링크에 가셔서 자신의 지수를 입력하여 계산해 보시면 됩니다.
'생활노하우 및 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아인-마약 4종 투약 혐의-프로포폴 · 대마 · 코카인 · 케타민 (0) | 2023.03.02 |
---|---|
몰래 카메라-모텔·호텔 객실촬영 (0) | 2023.03.01 |
동물농장 이찬종 - 성희롱 · 강제추행 혐의로 피소 (0) | 2023.02.23 |
영국 상류층의 불륜 막장 스토리 (1) | 2023.02.18 |
액션스타 브루스 윌리스-치매 판정 (0) | 2023.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