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351.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코 드 번 호 |
세 분 류 | 세세분류 | 단 순 경비율 |
기 준 경비율 |
351104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3.5 | 15.0 |
◦선박해체 | ||||
37.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371.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371000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원료 재생업 | 91.6 | 14.0 |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에서 금속류를 분류, 분리하여 파쇄, 분쇄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생용의 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감광성 필름, 정착액, 인화지 등에서 비정련 상태의 금속을 추출 ·폐기물 수집, 금속류 분류 및 분리, 파쇄, 분쇄 과정을 거쳐 금속 원료 물질 추출 <제 외> ·금속 재생재료를 처리하여 직접 1차 금속을 생산하는 경우 |
||||
371001 371001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1.6 | 14.0 |
◦금속을 함유한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을 원료 재생 목적으로 해체, 절단, 압축하거나,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혼합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금속 원료 물질을 단순 분리, 분류, 회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류 폐기물(폐세탁기, 폐자전거 등) 분리, 분류를 위한 절단 ·금속류 폐기물 재활용 용도의 컴퓨터, TV 및 기타 장비 해체 ·재활용 용도의 금속류 폐기물 용량 감소를 위한 절단, 압축 <제 외> ·중고 부품 취득 및 재판매를 위한 자동차, 컴퓨터, 텔레비전 등 해체(G) ·재생용 재료 도매업(514971) *선박해체(→351104) *폐차처리업(→900300) |
||||
372.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372000 | 비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비금속류 원료 재생업 | 92.3 | 12.0 |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에서 비금속류를 분류, 분리하여 파쇄, 분쇄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생용의 비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유리 세척, 선별, 분쇄 ·폐식용유, 폐유지 화학처리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음식료품 및 담배 폐기물, 잔재물 분쇄, 파쇄, 화학처리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철거 폐기물 등 분류, 세척, 분쇄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 분말 생산 ·플라스틱, 고무 폐기물을 세척, 분쇄, 용해하여 과립 형태로 가공 ·플라스틱제 통, 화분, 운반대(팔레트)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분류 및 입상화(펠릿화) <제 외>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을 만드는 경우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로 분류 ·재생 플라스틱 소재물질 제조(241303) ·유기질 및 부산물 비료 제조(241202) ·재생 윤활유, 재생유 및 그리스 제조(232200) ·목분 제조(201009) ·핵연료 농축 등 재처리(232101) |
||||
372001 372001 |
비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비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2.3 | 13.3 |
◦비금속류를 함유한 지정 외 폐기물, 기타 폐품 등을 원료 재생 목적으로 해체, 절단, 압축하거나,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혼합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비금속 원료 물질을 단순 분리, 분류, 회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목재류 해체 및 절단 ·폐지류 기계작업을 통한 압축 ·혼합 폐기물에서 플라스틱류 분류, 분리, 회수 <제 외> ·면섬유 잔재물을 이용한 방적사 제조(171102)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폐기 처리하는 경우(900106) ·플라스틱류 파쇄, 용해, 압출 공정을 통한 입상화(372000) ·농·축산물 폐기물 처리장 운영(900203,900101) ·유해 폐오니 및 슬러지 처리(900105) ·폐지 이용 펄프 제조(210106) ·재생 타이어 제조(251102) |
||||
37. 환경 정화 및 복원업 372.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
372002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토양 및 지하수 정화업 | 92.3 | 13.3 |
◦기계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를 정화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정화활동은 오염 현장 또는 그 외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다. | ||||
<예 시> ·기름에 오염된 토양 정화 ·기름에 오염된 지하수 정화 <제 외> ·무해성 폐기물 처리(900101) ·유해성 폐기물 처리(900105) |
||||
372003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기타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92.3 | 13.3 |
◦오염된 건물, 강, 바다, 호수, 대기 등을 정화하여 복원하는 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오염된 건물 정화 ·오염된 하천이나 해양 정화(하천이나 해양 기름띠 제거) ·건물, 산업단지 등의 석면, 납, 도료 및 기타 독성 물질 경감 활동 |
||||
41. 수도업 410. 수도업 |
||||
410000 | 생활용수 공급업 | 생활용수 공급업 | 84.1 | 28.5 |
◦수요자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취수, 집수, 정수 및 급수를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생활용수는 도수관, 송수관, 배수관, 급수관 등 배관시설에 의하여 공급된다. | ||||
410001 | 산업용수 공급업 | 산업용수 공급업 | 84.1 | 28.5 |
◦수요자에게 공업용수 및 상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취수, 집수, 정수 및 급수를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산업용수는 관련 배관시설에 의하여 공급된다. | ||||
<제 외> ·농업용수 공급 및 농업용 관개시설 운영(014302) ·하수시설 운영업(900200) |
||||
74.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749.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
749301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하수 처리업 | 85.5 | 25.4 |
◦하수도관 청소 | ||||
90.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900. 폐기물 수집, 운반업 |
||||
900100 |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업 |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8.3 |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무해 폐기물(지정 외 폐기물)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무해 고체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 산업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 생활 폐기물 수집, 운반 <제 외> ·방사성 폐기물 처리(900102) |
||||
900. 폐기물 처리업 |
||||
900101 |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 88.0 | 19.9 |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 폐기물 등의 무해 폐기물(지정 외 폐기물)을 매립,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처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전기, 열 및 증기를 생산할 수 있다. | ||||
<예 시> ·무해 폐기물 소각로 운영 ·무해 폐기물 매립장 운영 ·음식 폐기물 처리 <제 외> ·수집 폐기물을 공급받아 전기 생산(401003) |
||||
900102 |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업 |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업 | 88.0 | 20.4 |
◦폐기 대상인 핵폐기물 등 방사성 폐기물을 수집, 운반, 처리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900. 폐기물 수집, 운반업 |
||||
900103 |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업 |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5.6 |
◦사업체 및 의료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인체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폭발성, 산화성, 인화성, 유독성, 자극성, 발암성, 부식성, 전염성 물질로서 특별 관리되는 폐기물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부식성 폐기물(폐산, 폐알카리) 수집, 운반 ·폐유(폐식용유는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 ·폐석면, 폐농약 수집, 운반 ·액상 폐합성수지, 폐고무 수집, 운반 ·폐수 오니, 공정과정 배출 오니 수집, 운반 ·보건ㆍ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ㆍ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위해한 폐기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 사체 ·유해성 광재(슬래그), 폐주물사, 폐내화물, 폐유기용제, 폐페인트 및 폐래커, 폐유독물질 수집, 운반 <제 외>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처분(900102) |
||||
900104 |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업 |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5.6 |
◦건설 관련 폐기물(건물 해체물 등) 및 무해성 광재 등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성 광재(고로 슬래그 등) 수집, 운반 <제 외> ·공사장에서 배출되는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900103)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900102) |
||||
900. 폐기물 처리업 |
||||
900105 | 지정 폐기물 처리업 | 지정 폐기물 처리업 | 88.0 | 16.6 |
◦사업장 및 의료기관에서 배출하는 각종 지정 폐기물 처리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수 오니 처리 ·의료 적출물 처리 ·동물 사체 처리 |
||||
900106 | 건설 폐기물 처리업 | 건설 폐기물 처리업 | 88.0 | 16.6 |
◦건물 해체물 등 건설관련 폐기물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처리과정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무해성 광재를 처리하는 산업활동도 포함한다. | ||||
<예 시> ·무해성 광재(고로 슬래그 등) 처리 <제 외> ·재생 골재와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특정 제품(벽돌 등) 생산(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에 따른 산업활동에 따라 분류) ·공사장에서 배출되는 지정 폐기물 처리(900105) |
||||
90.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900.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
900200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하수 처리업 | 84.6 | 20.4 |
◦하수를 하수도관에 의해서 수집하고, 수집된 하수를 희석, 선별, 여과, 침전 등 물리․화학․생물공정 등으로 처리하는 하수도관시설 및 하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하수 펌프장 운영 ·하수도관시설 운영 ·하수 종말 처리장 운영 <제 외> ·산업 폐수 처리시설 운영(900202) *하수도관 청소(→749301) |
||||
900201 | 분뇨 처리업 | 사람 분뇨 처리업 | 83.8 | 19.9 |
◦사람 분뇨의 수집, 운반, 보관 및 처분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정화조 청소업 ·분뇨 수집, 운반업 ·분뇨 처리업 |
||||
900202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폐수 처리업 | 84.6 | 19.9 |
◦산업 폐수를 폐수 수집관에 의해서 수집하고, 수집된 폐수를 희석, 선별, 여과, 침전 등 물리․화학․생물공정 등으로 처리하는 폐수도관시설 및 폐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산업 폐수 처리시설 운영 |
||||
900203 | 분뇨 처리업 | 축산 분뇨 처리업 | 83.8 | 19.9 |
◦가축 사육장에서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염 물질의 수집, 운반, 보관 및 처분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가축 분뇨 수집 및 운반업 ·축산 폐수 공용 처리시설 운영 <제 외> ·축산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241202) |
||||
90.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900.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900300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87.9 | 15.6 |
◦폐차처리업 | ||||
<예 시> ·금속원료재생을 위한 철도차량 해체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351.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코 드 번 호 |
세 분 류 | 세세분류 | 단 순 경비율 |
기 준 경비율 |
351104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3.5 | 15.0 |
◦선박해체 | ||||
37.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371.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371000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원료 재생업 | 91.6 | 14.0 |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에서 금속류를 분류, 분리하여 파쇄, 분쇄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생용의 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감광성 필름, 정착액, 인화지 등에서 비정련 상태의 금속을 추출 ·폐기물 수집, 금속류 분류 및 분리, 파쇄, 분쇄 과정을 거쳐 금속 원료 물질 추출 <제 외> ·금속 재생재료를 처리하여 직접 1차 금속을 생산하는 경우 |
||||
371001 371001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1.6 | 14.0 |
◦금속을 함유한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을 원료 재생 목적으로 해체, 절단, 압축하거나,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혼합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금속 원료 물질을 단순 분리, 분류, 회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금속류 폐기물(폐세탁기, 폐자전거 등) 분리, 분류를 위한 절단 ·금속류 폐기물 재활용 용도의 컴퓨터, TV 및 기타 장비 해체 ·재활용 용도의 금속류 폐기물 용량 감소를 위한 절단, 압축 <제 외> ·중고 부품 취득 및 재판매를 위한 자동차, 컴퓨터, 텔레비전 등 해체(G) ·재생용 재료 도매업(514971) *선박해체(→351104) *폐차처리업(→900300) |
||||
372.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372000 | 비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비금속류 원료 재생업 | 92.3 | 12.0 |
◦지정 외 폐기물, 스크랩, 기타 폐품 등에서 비금속류를 분류, 분리하여 파쇄, 분쇄하거나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재생용의 비금속 원료 물질로 전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유리 세척, 선별, 분쇄 ·폐식용유, 폐유지 화학처리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음식료품 및 담배 폐기물, 잔재물 분쇄, 파쇄, 화학처리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철거 폐기물 등 분류, 세척, 분쇄를 통한 이차원료 생산 ·폐타이어를 이용한 고무 분말 생산 ·플라스틱, 고무 폐기물을 세척, 분쇄, 용해하여 과립 형태로 가공 ·플라스틱제 통, 화분, 운반대(팔레트) 제조를 위한 플라스틱 폐기물 분류 및 입상화(펠릿화) <제 외>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이용하여 특정 제품을 만드는 경우는 해당 제품 제조업으로 분류 ·재생 플라스틱 소재물질 제조(241303) ·유기질 및 부산물 비료 제조(241202) ·재생 윤활유, 재생유 및 그리스 제조(232200) ·목분 제조(201009) ·핵연료 농축 등 재처리(232101) |
||||
372001 372001 |
비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비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92.3 | 13.3 |
◦비금속류를 함유한 지정 외 폐기물, 기타 폐품 등을 원료 재생 목적으로 해체, 절단, 압축하거나, 연속적으로 투입되는 혼합 폐기물로부터 재활용이 가능한 비금속 원료 물질을 단순 분리, 분류, 회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목재류 해체 및 절단 ·폐지류 기계작업을 통한 압축 ·혼합 폐기물에서 플라스틱류 분류, 분리, 회수 <제 외> ·면섬유 잔재물을 이용한 방적사 제조(171102) ·건설 폐기물 및 폐주물사를 폐기 처리하는 경우(900106) ·플라스틱류 파쇄, 용해, 압출 공정을 통한 입상화(372000) ·농·축산물 폐기물 처리장 운영(900203,900101) ·유해 폐오니 및 슬러지 처리(900105) ·폐지 이용 펄프 제조(210106) ·재생 타이어 제조(251102) |
||||
37. 환경 정화 및 복원업 372.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
372002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토양 및 지하수 정화업 | 92.3 | 13.3 |
◦기계적,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오염된 지역의 토양 및 지하수를 정화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정화활동은 오염 현장 또는 그 외 장소에서 수행할 수 있다. | ||||
<예 시> ·기름에 오염된 토양 정화 ·기름에 오염된 지하수 정화 <제 외> ·무해성 폐기물 처리(900101) ·유해성 폐기물 처리(900105) |
||||
372003 |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기타 환경 정화 및 복원업 | 92.3 | 13.3 |
◦오염된 건물, 강, 바다, 호수, 대기 등을 정화하여 복원하는 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오염된 건물 정화 ·오염된 하천이나 해양 정화(하천이나 해양 기름띠 제거) ·건물, 산업단지 등의 석면, 납, 도료 및 기타 독성 물질 경감 활동 |
||||
41. 수도업 410. 수도업 |
||||
410000 | 생활용수 공급업 | 생활용수 공급업 | 84.1 | 28.5 |
◦수요자에게 생활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취수, 집수, 정수 및 급수를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생활용수는 도수관, 송수관, 배수관, 급수관 등 배관시설에 의하여 공급된다. | ||||
410001 | 산업용수 공급업 | 산업용수 공급업 | 84.1 | 28.5 |
◦수요자에게 공업용수 및 상업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취수, 집수, 정수 및 급수를 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산업용수는 관련 배관시설에 의하여 공급된다. | ||||
<제 외> ·농업용수 공급 및 농업용 관개시설 운영(014302) ·하수시설 운영업(900200) |
||||
74.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749.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
749301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하수 처리업 | 85.5 | 25.4 |
◦하수도관 청소 | ||||
90.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900. 폐기물 수집, 운반업 |
||||
900100 |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업 |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8.3 |
◦가정 및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무해 폐기물(지정 외 폐기물)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무해 고체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 산업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 생활 폐기물 수집, 운반 <제 외> ·방사성 폐기물 처리(900102) |
||||
900. 폐기물 처리업 |
||||
900101 |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 88.0 | 19.9 |
◦가정 또는 사업장에서 배출되는 생활 폐기물 등의 무해 폐기물(지정 외 폐기물)을 매립, 소각, 중화, 파쇄, 고형화 등의 방법으로 처리하는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처리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전기, 열 및 증기를 생산할 수 있다. | ||||
<예 시> ·무해 폐기물 소각로 운영 ·무해 폐기물 매립장 운영 ·음식 폐기물 처리 <제 외> ·수집 폐기물을 공급받아 전기 생산(401003) |
||||
900102 |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업 |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및 처리업 | 88.0 | 20.4 |
◦폐기 대상인 핵폐기물 등 방사성 폐기물을 수집, 운반, 처리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900. 폐기물 수집, 운반업 |
||||
900103 |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업 |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5.6 |
◦사업체 및 의료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인체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폭발성, 산화성, 인화성, 유독성, 자극성, 발암성, 부식성, 전염성 물질로서 특별 관리되는 폐기물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부식성 폐기물(폐산, 폐알카리) 수집, 운반 ·폐유(폐식용유는 지정 외 폐기물) 수집, 운반 ·폐석면, 폐농약 수집, 운반 ·액상 폐합성수지, 폐고무 수집, 운반 ·폐수 오니, 공정과정 배출 오니 수집, 운반 ·보건ㆍ의료기관, 동물병원, 시험ㆍ검사기관 등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중 인체에 위해한 폐기물, 인체 조직 등 적출물, 실험 동물 사체 ·유해성 광재(슬래그), 폐주물사, 폐내화물, 폐유기용제, 폐페인트 및 폐래커, 폐유독물질 수집, 운반 <제 외>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처분(900102) |
||||
900104 |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업 |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업 | 88.0 | 15.6 |
◦건설 관련 폐기물(건물 해체물 등) 및 무해성 광재 등을 수집, 운반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건설 폐기물 수집, 운반 ·무해성 광재(고로 슬래그 등) 수집, 운반 <제 외> ·공사장에서 배출되는 지정 폐기물 수집, 운반(900103) ·방사성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900102) |
||||
900. 폐기물 처리업 |
||||
900105 | 지정 폐기물 처리업 | 지정 폐기물 처리업 | 88.0 | 16.6 |
◦사업장 및 의료기관에서 배출하는 각종 지정 폐기물 처리 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폐수 오니 처리 ·의료 적출물 처리 ·동물 사체 처리 |
||||
900106 | 건설 폐기물 처리업 | 건설 폐기물 처리업 | 88.0 | 16.6 |
◦건물 해체물 등 건설관련 폐기물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처리과정에서 재활용이 가능한 골재를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다. 무해성 광재를 처리하는 산업활동도 포함한다. | ||||
<예 시> ·무해성 광재(고로 슬래그 등) 처리 <제 외> ·재생 골재와 기타 재료를 혼합하여 특정 제품(벽돌 등) 생산(비금속광물제품 제조에 따른 산업활동에 따라 분류) ·공사장에서 배출되는 지정 폐기물 처리(900105) |
||||
90.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900. 하수, 폐수 및 분뇨 처리업 |
||||
900200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하수 처리업 | 84.6 | 20.4 |
◦하수를 하수도관에 의해서 수집하고, 수집된 하수를 희석, 선별, 여과, 침전 등 물리․화학․생물공정 등으로 처리하는 하수도관시설 및 하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한다. | ||||
<예 시> ·하수 펌프장 운영 ·하수도관시설 운영 ·하수 종말 처리장 운영 <제 외> ·산업 폐수 처리시설 운영(900202) *하수도관 청소(→749301) |
||||
900201 | 분뇨 처리업 | 사람 분뇨 처리업 | 83.8 | 19.9 |
◦사람 분뇨의 수집, 운반, 보관 및 처분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정화조 청소업 ·분뇨 수집, 운반업 ·분뇨 처리업 |
||||
900202 | 하수 및 폐수 처리업 | 폐수 처리업 | 84.6 | 19.9 |
◦산업 폐수를 폐수 수집관에 의해서 수집하고, 수집된 폐수를 희석, 선별, 여과, 침전 등 물리․화학․생물공정 등으로 처리하는 폐수도관시설 및 폐수 처리시설을 운영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산업 폐수 처리시설 운영 |
||||
900203 | 분뇨 처리업 | 축산 분뇨 처리업 | 83.8 | 19.9 |
◦가축 사육장에서 배출되는 액체성 또는 고체성 오염 물질의 수집, 운반, 보관 및 처분을 수행하는 산업활동을 말하며 관련 시설을 청소하는 활동을 포함한다. | ||||
<예 시> ·가축 분뇨 수집 및 운반업 ·축산 폐수 공용 처리시설 운영 <제 외> ·축산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 비료 제조(241202) |
||||
90. 폐기물 수집, 운반, 처리 및 원료 재생업 900.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
900300 | 금속류 해체, 선별 및 원료 재생업 | 금속류 해체 및 선별업 | 87.9 | 15.6 |
◦폐차처리업 | ||||
<예 시> ·금속원료재생을 위한 철도차량 해체 |
||||
【수도, 하수 및 폐기물 처리, 원료 재생업】 |
'2023년귀속 기준경비율 · 단순경비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귀속 H. 운수 및 창고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1) | 2024.04.26 |
---|---|
2023년귀속 F. 건설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1) | 2024.04.26 |
2023년귀속 D. 전기, 가스, 증기 및 공기조절 공급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1) | 2024.04.26 |
2023년귀속 B. 광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1) | 2024.04.25 |
2023년귀속 A. 농업, 임업 및 어업 단순경비율 기준경비율 (1) | 2024.0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