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 공부에 도움이 되는 문법 용어 몇 가지(1) 

  

 문법 단위

문법 단위의 단계 음운 -> 음절 -> 형태소 ->단어(낱말) ->어절 ->/절 ->문장 ->문단 -> 글  

 

 

1) 음운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모음과 자음이 있다.

① 모음 (21)

[단모음ㅏ ㅐ ㅓ ㅔ ㅗ ㅚ ㅜ ㅟ ㅡ ㅣ(10)

[이중모음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11)

② 자음 (19) :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참고]

음성과 음운 : 음성은 여러 가지의 서로 다른 개인차(음색의 차이, 미세한 발음의 차이)가 있지만

음운은 그러한 개인차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의미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음성적 요소를 뜻한다.

따라서 음성학은 의사소통에 있어서 기능과는 관계 없는 음성 요소를 연구하지만

음운학은 동일한 의미 전달을 전제로 하는 음성적 요소를 다루며 크게 운소론과 음소론으로 나뉜다.

 

음운 현상 : 음운 현상이란 어떤 언어의 음운 변화 현상을 뜻하는데

국어에서의 음운 현상은 크게 나누어 '동화, 교체, 탈락, 축약, 첨가'가 있으며,

(혹자는 자음동화와 구개음화를 교체로 보아 '교체, 탈락, 축약, 첨가'의 4유형으로 구분)

동화, 이화, 삽입, 탈락, 강화, 도치, 치환으로 나누기도 한다.

다음 편에 이 음운 현상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2) 음절 한 번에 소리 낼 수 있는 소리마디자음과 모음이 모여 이루어진다.

• (모음ㅏ 

• (모음)+(자음ㅏ ㄱ 

• (자음)+(모음ㄱ ㅏ 

• (자음)+(모음)+(자음ㄱ ㅏ ㅇ  

 

 

위에 보인 '아/악/가/강'이 각각의 음절인데, 이 음절이 하나로 이뤄진 말은 단음절어(혹은 1음절어),  두 개일 때는 2음절어가 된다.  음운 현상과 관련해서, 가끔 '어간이 단음절어'라는 말이 나올 텐데, 이것은 '달다'의 경우에서처럼 어간이 '달-'이라는 1음절로 된 말을 뜻한다.  

 

 

3) 형태소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실질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실질형태소와 형식형태소로혼자 설 수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자립형태소와 의존형태소로 나누어진다. ‘그 꽃이 예쁘다.’를 대상으로 나누어 보면아래와 같다.  나중에 공부할 합성어들은 이 실질형태소들의 결합으로 이뤄진다.  또한 뒤에 설명할 의미소(실질 의미, 곧 관념을 의미하는 언어 요소)나 어근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 실질형태소 예쁘-

• 형식형태소 , - 

 

 

• 자립 형태소 

• 의존 형태소 예쁘-, - 

 

 

[참고어미와 형태소와의 관계 어미는 용언 및 서술격 조사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분으로, ‘점잖다/점잖으며/점잖고에서 /으며/’ 따위인데형태소로는 형식 형태소에 속한다. 

 

 

4) 낱말 홀로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가장 작은 말의 단위 또는 이에 준하는 말형태소가 모여 이루어진다단일어와 복합어가 있으며복합어는 합성어 파생어.

• (단일어/하늘/어머니• (합성어꽃병/밤나무• (파생어햇밤/욕심쟁이 

 

 

5) 어절 끊어 읽는 대로 나누어진 도막도막의 마디낱말이 모여 이루어지며띄어쓰기의 단위가 된다. 어절은 단어보다는 크고 구()보다는 작은 문장의 구성 단위인데, ‘그 꽃이 예쁘다.’는 /꽃이/예쁘다의 세 어절로 이뤄진 문장.

[참고어절이 띄어쓰기의 단위가 되는 이유 : ‘그 꽃이 예쁘다.’는 (낱말 ‘, 관형사)’, ‘꽃이(낱말 ’ + 형태소/조사 ’)‘, ’예쁘다(어간/실질형태소 예쁘’ + 어미/형식형태소 ’)의 세 어절로 나누어(띄어적은 것처럼실제로는 단어에 조사나 어미 등의 형태소가 붙어 한 마디를 이룬 것(어절)들을 구분하여 띄어 적으므로,띄어쓰기의 단위는 어절이 된다 

 

6) /절 ()’는 주술관계(主述關係)가 나타나지 않은 두 단어 이상의 통합체. [서울 친구나의 새 친구근래 새로 사귄 친구()은 '주어-서술어구조를 가진 두 단어 이상의 통합체주어와 서술어를 갖고 있지만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못한다는 특징이 있다예를 들어, "선생님은 철수가 범인임을 아신다."라는 문장에서 '철수가 범인임'은 그 자체에 주어 '철수가'와 서술어 '범인이-'를 갖고 있으나 독립적으로 쓰이지 못하고 전체 문장 속의 일부로 있을 뿐이다문장은 독립적절은 비독립적 성격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다 

[참고구 중에 좀 특이한 것으로 관용구가 있다예컨대, ‘발이 넓다(사교적이어서 아는 사람이 많다)’와 같이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져 있으면서 그 단어들의 의미만으로는 전체의 의미를 알 수 없는특수한 의미를 나타내는 어구(語句)를 뜻한다일견 문장 형태로 되어 있는 듯하지만예문과 같은 경우에도 그는 발이 넓다와 같이 써야만 주어+서술어 구조를 완전하게 갖춘 것으로 되기 때문에 관용에 든다.

  

7) 문장 생각이나 느낌을 완결된 내용으로 표현하는 가장 작은 단위어절이 모여 이루어진다 

 

8) 문단 여러 개의 문장이 모여서 하나의 중심 생각을 나타내는 단위

. 

9) 글 여러 개의 문단이 모여서 하나의 통일된 생각을 나타내는 단위.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체언  (0) 2015.01.13
음운현상  (0) 2015.01.13
틀리기 쉬운 '낫다/낳다/낮다' 정확한 맞춤법  (0) 2015.01.13
'틀리다'와'다르다'의 차이점은?  (0) 2015.01.13
에요 예요, 이에요 이예요  (0) 2015.01.1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