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띄어쓰기 공부에 도움이 되는 문법 용어 몇 가지(3) 

 

 체언(體言)이란 

 

   -체언 문장에서 주어의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명사대명사수사가 있음. 

 

-명사 사물의 이름을 나타내는 품사특정한 사람/물건에 쓰이는 이름이냐 일반적인 사물에 두루 쓰이는 이름이냐에 따라 고유명사와 보통명사로자립적으로 쓰이느냐 그 앞에 반드시 꾸미는 말이 있어야 하느냐에 따라 자립명사와 의존명사로 나뉨.

[정리명사 보통명사+고유명사자립명사+의존명사.

명사형(名詞形) : 용언이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게 하는 활용형용언의 어간에 ‘-/-/-’ 따위가 붙어서 이루어짐. ‘놀람/아름다움/먹음/읽기’ 따위.

명사구(名詞句) : 명사의 구실을 하는 구. ‘저 성실한 학생이 철수이다에서 저 성실한 학생’ 따위.

* ‘체언 구실을 하는 말’ : 명사형/명사구들을 포괄함. 

행위성 명사와 서술성 명사 행위성 명사란 사람이 의지를 가지고 가지고 하는 성질이 있는 명사로 행동이 핵심 요소임행위성 명사는 그 뒤에 존칭 접미사 ‘-드리다와 같은 것을 붙이면 존칭의 뜻을 지닌 동사가 됨. (감사드리다/답변-/말씀-/문안-/부탁-/불공-공양-/사과-/사죄-/약속-/인사-/세배-/예배-/질문-/축하-’. 이와 상대적인 서술성 명사는 사건/생각 따위를 차례대로 말하거나 적는 것을 뜻하며설명적인 것이 그 핵심 요소라 할 수 있음서술성 명사는 그 뒤에 피동 접미사 ‘-받다/-되다’ 등을 붙여 피동형을 만들 때 쓰이는 것이 대표적 사례임. () ‘오해받다/오해되다생각되다’. 

유정명사와 무정명사 유정명사(有情名詞)는 ‘감정을 나타내는사람/동물을 가리키는 명사’. 반면 무정명사(無情名詞)는 감정을 나타내지 못하는식물/무생물을 가리키는 명사이 구분은 조사의 쓰임에서 유용한데예컨대 ‘()로부터는 유정명사나 무정명사에 모두 붙여 쓸 수 있지만, ‘에게서’는  유정명사에만  쓰이고, ‘-는 무정물에, ‘-에게는 유정물에 쓰이는 식임.

의존명사의 특징 홀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그 앞에 꾸밈말이 있어야 하며꾸밈말은 관형사관형형,명사 등 다양함같은 낱말이라도의존명사 외에 명사/조사/접사 등의 기능을 겸하고 있는 것들도 있음. <> ‘대로///거리/’ 의존명사였지만복합어를 이루어 완전히 붙은 꼴로 굳어진 것들도 많음. <> ‘-///’ 등이 들어간 복합어들상세 내역은 뒤에 설명할 의존명사 종합 정리’ 항목 참조.

  

-대명사 사람/사물의 이름을 대신 나타내는 말또는 그런 말들을 지칭하는 품사인칭대명사와 지시대명사로 나뉘는데인칭대명사는 //우리/너희/자네/누구’ 따위이고지시대명사는 각각 사물/장소/시간을 뜻하는 무엇/그것/이것/무엇’, ‘거기/저기/어디/아무데’, ‘언제/하시(何時)’ 따위 가 있음.

[정리대명사 인칭대명사+지시대명사. 

 

-수사 사물의 수량/순서를 나타내는 품사양수사와 서수사가 있음.

서수사(序數詞) : 순서를 나타내는 수사. ‘첫째/둘째/셋째’ 따위의 고유어 계통과 제일/제이/제삼’ 따위의 한자어 계통이 있음.

[주의첫째/둘째/셋째와 같은 서수사가 명사를 겸할 때가 있는데예컨대 둘째/셋째는 각각 맨 앞에서부터 세어 모두 두/세 개가 됨을 이르는 명사이기도 함, ‘새치를 벌써 둘째 뽑는다/벌써 빵을 셋째 먹었다등과 같이 쓰일 때가 그러함표준어 규정에서 두째/세째/네째를 인정하지 아니하고 둘째/셋째/넷째만 표준어로 삼았기 때문에, ‘오는 길에 두째네 집에 들렀다에서 두째네’(x)는 잘못이고 둘째네’(o)로 표기해야 함.

양수사(量數詞)기수사(基數詞) : 수량을 셀 때 쓰는 수사로, ‘하나//’ 따위.

[정리수사 서수사+양수사.

[참고수관형사(數冠形詞) : 사물의 수/양을 나타내는 관형사. ‘두 사람의 ’, ‘세 근의 ’ 따위. 

 

체언과 격조사와의 관계 격조사란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앞말이 다른 말에 대하여 갖는 일정한 자격을 나타내는 조사주격조사서술격조사목적격조사보격조사관형격조사부사격조사호격조사 따위가 있음격조사는 체언/체언류에만 붙을 수 있다는 점에서체언/부사/활용어미 따위에 두루 붙여 쓸 수 있는 보조사와는 다름☞상세 사항은 뒤에 나올 조사와 보조사’ 항목 참조.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형사/관형사형/관형어  (0) 2015.01.14
용언  (0) 2015.01.13
음운현상  (0) 2015.01.13
문법 단위  (0) 2015.01.13
틀리기 쉬운 '낫다/낳다/낮다' 정확한 맞춤법  (0) 2015.0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