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법/띄어쓰기 공부에 도움이 되는 문법 용어 몇 가지(4) 

 

 용언(用言)이란  

 

-용언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문장 성분으로동사형용사가 있음서술격조사와 더불어형태 변화(활용)를 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문장 안에서의 쓰임에 따라 본용언과 보조용언으로 나눔.

[정리용언 동사+형용사본용언+보조용언동사 사동사+피동사자동사+타동사+중립동사*.

*중립동사/능격동사(能格動詞) : 접사가 결합하지 않고 동사 그대로의 꼴로 자동사와 타동사 모두로 쓰이는 동사. (움직이다/그치다/멈추다/다치다.

*이중 피동 : '잡혀지다/쓰여지다/읽혀지다/보여지다/잊혀지다/찢겨지다등은 피동 접미사 ‘-에 의한 피동과 '지다'에 의한 피동이 겹쳐진 것으로 이를 이중 피동이라 하며현재는 바람직하지 아니한 것으로 보아 잡히다/쓰이다/읽히다/보이다/잊히다/찢기다의 잘못으로 봄. ‘잊혀진(x)/잊힌(o)'의 경우가 대표적임 

 

⑴ 본용언(本用言) 문장의 주체를 주되게 서술하면서 보조적연결어미[補助的連結語尾]*로 연결되어 보조용언의 도움을 받는 용언. ‘나는 사과를 먹어 버렸다’, ‘그는 잠을 자고 싶다에서 먹다’, ‘자다’ 따위.

보조적연결어미[補助的連結語尾] : 본용언에 보조용언을 연결하는 어말어미로 ‘-/-/-/-/-’ 따위(예전에는 부사형 어미로 분류되었음). 위의 예문에 보이는 먹어의 ‘-와 자고의 ‘-가 이에 해당함. 

 

⑵ 보조용언(補助用言) 본용언과 연결되어 그것의 뜻을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용언보조동사보조형용사가 있으며. ‘가지고 싶다의 싶다’, ‘먹어 보다의 보다’ 따위한 낱말로 굳어진 복합동사/복합형용사*와는 띄어쓰기에서 다름.

보조동사(補助動詞) : 본동사와 연결되어 그 풀이를 보조하는 동사. ‘감상을 적어 두다의 두다’, ‘그는 학교에 가 보았다의 보다’ 따위로서본용언과 결합할 때는 그것이 의존하는 어미와 함께 제시됨. () ‘-/어 가다/오다/내다/주다/드리다/보다/두다/놓다/가지다/지다/대다/보이다’; ‘-고 있다/계시다/나다/(말다’; ‘-게 하다/만들다/되다’; ‘-지 아니하다/말다/못하다’; ‘-기는 하다’ .

보조형용사(補助形容詞) : 본용언과 연결되어 의미를 보충하는 역할을 하는 형용사. ‘먹고 싶다의 싶다’, ‘예쁘지 아니하다의 아니하다’ 따위보조동사와 같이 일정한 어미 형태에 의존하여 본용언과 결합함. () ‘-고 싶다’; ‘-지 아니하다/못하다’; ‘-()/-는가/-나 보다’; ‘-는가/-/-()까 싶다’; ‘-/어 있다/계시다’; ‘-기는 하다’.

[참고보조용언은 어미 ‘-()’ 활용 뒤에서만 붙여 쓸 수 있기 때문에(허용), ‘-게 하다/만들다/되다’; ‘-지 아니하다/말다/못하다’; ‘-기는 하다’; ‘-()/-는가/-나 보다’; ‘-는가/-/-()까 싶다’ 등과 같은 꼴(이를 구성라 함)에서는 붙여 쓰지 못하고 반드시 띄어 써야 함.

합성동사(合成動詞)복합동사(複合動詞) : 둘 이상의 말이 결합되어 만들어진 하나의 동사. ‘본받다/앞서다/들어가다/가로막다’ 따위.

합성형용사복합형용사 둘 이상의 말이 결합하여 만들어진 하나의 형용사. ‘손쉽다/눈설다/깎아지르다/붉디붉다’ 따위. [주의이 합성 용언들은 한 낱말이므로 결합 이전의 형태로 띄어 적어서는 안 됨 

 

-활용 용언의 어간이나 서술격 조사(‘이다’)에 변하는 말이 붙어 문장의 성격을 바꿈또는 그런 일국어에서는 동사/형용사/서술격조사의 어간에 여러 가지 어미가 붙는 형태를 이르는데이로써 시제서법 따위를 나타냄. 

 

-활용형 용언 어간 또는 서술격 조사(‘이다’) 어간에 붙는 어미 변화의 형식.

[활용형의 종류]

종결형(終結形) : 종결어미로 끝나는 용언의 활용형. <>‘-거라’(의도); ‘-/-/-’(물음); ‘-에라/-으섀라/-누먼/-여라’(감탄); ‘-시오/-거라’(명령); ‘-자니까’(청유따위.

감탄형(感歎形) : ‘-구나/-도다’ 따위.

의문형(疑問形) : 종결어미 ‘-느냐/-’ 따위가 붙은 꼴.

의도형(意圖形) : ‘-/-고자’ 따위.

부사형(副詞形) : 활용어미 ‘-//-/-/-’ 따위가 붙어 부사와 같은 구실을 하는 활용형.

방임형(放任形) : ‘-()/-더라도’ 따위.

설명형(說明形) : ‘-는데/-으되/-으니/-나니/-/-더니’ 따위.

도급형(到及形) : ‘밤이 새도록 잘 수가 없었다에서 ‘-도록’ 따위.

구속형(拘束形) : ‘-()/-거든/-기에/-아야/어야/여야’ 따위.

익심형(益甚形) : ‘철수는 갈수록 의젓해진다에서 ‘-수록’ 따위.

첨가형(添加形) : ‘비가 올뿐더러 바람도 분다에서의 뿐더러’ 따위.

명사형(名詞形) : 용언의 어간에 ‘-/-/-’ 따위가 붙어서 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게 하는 활용형. ‘놀람’, ‘아름다움, ‘먹음’, ‘읽기’ 따위.

청유형(請誘形) : ‘-/-자꾸나/-/-읍시다’ 따위가 붙는 꼴.

명령형(命令形) : ‘다녀와라/다녀오게/다녀오오/다녀옵시오의 ‘-아라(어라)/-/-/-시오’ 따위.

관형사형(冠形詞形) : 관형사처럼 체언을 꾸미는 용언의 활용형앞의 말에 대해서는 서술어그 뒤의 말에 대해서는 관형어 구실을 하는 것으로, ‘-()/-()’ 따위.

전성형(轉成形) : 문장의 기능을 전성시키는 활용형다른 품사의 자격을 가지게 하는데명사형/관형사형/부사형으로 나뉨. ‘과자를 먹는 아기가 많다의 먹는’, ‘과자를 먹기 싫어하는 아기도 있음의 먹기’, ‘과자를 먹어 이가 상했다의 먹어’ 따위. 

 

-불규칙활용(不規則活用)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 또는 어미의 모습이 달라지는 일. ‘돕다도와’, ‘오다오너라로 되는 것 따위.

ㆍㄷ불규칙활용 어간 말음인 이 모음으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 로 변하는 활용<묻다(물으니/물어)’, ‘듣다(들으니/들어)’, ‘붇다(불으니/불어)’ 따위.

ㆍㄹ불규칙활용 어간의 끝소리인 이 ////’ 앞에서 무조건 탈락하는 활용길다기니/깁니다/기오로 바뀌는 따위현재는 단순한 소리의 탈락으로만 봄.

르불규칙활용 어간의 끝음절 가 어미 ‘-/-’ 앞에서 ㄹㄹ로 바뀌는 현상. ‘자르다잘라’, ‘부르다불러로 바뀌는 따위<가르다(갈라/갈랐다), 거르다(걸러/걸렀다), 오르다(올라/올랐다), 구르다(굴러/굴렀다), 이르다(일러/일렀다), 바르다(발라/발랐다), 벼르다(별러/별렀다), 지르다(질러/질렀다), 흐르다(흘러),기르다(길러), 마르다(말라)’ .

러불규칙활용 어미 ‘-/-어서의 ‘-가 ‘-로 바뀌는 활용. ‘이르다이르러’, ‘푸르다푸르러로 활용되는 따위. <=여불규칙과 더불어어간이 아닌 어미가 바뀌는 불규칙 범주.

ㆍㅅ불규칙활용 어간의 끝소리 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활용짓다지어’, ‘젓다저어’, ‘낫다나아’, ‘잇다이어로 바뀌는 따위.

ㆍㅂ불규칙활용 어간의 말음인 이 /로 시작되는 어미 앞에서는 , ‘/로 시작되는 어미 및 매개 모음을 요구하는 어미 앞에서는 로 변하는 불규칙 활용. ‘-/-/-우니의 형태로 결합되어 나타나며, ‘-+-도와’, ‘-+-구워’, ‘아름답-+-()아름다우니’ 따위가 있음.

ㆍㅎ불규칙활용 일부 형용사에서 어간의 끝 이 어미 /’ 위에서 줄어 활용하는 형식파랗다파라니/파라면/파래’, ‘노랗다노라니/노라면/노래으로 변하는 것 따위 <=어간+어미 모두 변하는 불규칙.

여불규칙활용 어미 ‘-가 ‘-로 변하는 불규칙 어미 활용. ‘하다’ 및 접미사 ‘-하다가 붙는 모든 용언은 여불규칙 활용을 함.

으불규칙활용 용언의 어간 가 ‘-/-’ 앞에서 탈락하는 활용현행 통일 학교 문법에서는 이를 규칙적인 음운 탈락 현상으로 보아 불규칙 활용으로 처리하지 않는데, ‘크다’, ‘담그다담가’ 등의 경우.

우불규칙활용 어간 끝의 가 어미 ‘-’ 앞에서 탈락하는 활용. ‘푸다로 활용하는 따위.

거라불규칙활용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거라로 바뀌는 활용. ‘가다/돌아가다가거라/돌아가거라로 바뀌는 것. [주의]‘앉거라/서거라/자거라/놀거라’ 등으로 오남용되고 있음현재 학교 문법에서는 과거의 거라불규칙을 규칙으로 처리하고 있음.

너라불규칙활용 동사의 명령형 어미가 ‘-아라/-어라로 되지 않고 일정한 어간 뒤에서 ‘-너라로 바뀌는 활용. ‘오다/가져오다오너라/가져오너라로 활용하는 것.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사/부사형/부사어  (0) 2015.01.14
관형사/관형사형/관형어  (0) 2015.01.14
체언  (0) 2015.01.13
음운현상  (0) 2015.01.13
문법 단위  (0) 2015.01.13

+ Recent posts